SE업무/OS

Hyper V에서 리눅스(Linux) 고정 IP 설정하기

에륜 2023. 3. 10. 02:28
반응형

윈도우이고 무료로 사용가능한 Hyper V에서 VM을 사용하다보면

기본적으로 부팅할때마다 VM IP 값이 변경되는 점을 확인할 수가 있다.

왜냐하면  Hyper V의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Default Switch라는데

해당 스위치는 부팅할때마다 IP 대역이 변경된다..

 

Ipconfig를 치면 Default Switch가 보이는데 부팅할때마다 바뀔것이다.

VM의 경우 이 어댑터를 쓰는데 이 어댑터의 IP가 바뀌니까 VM의 IP도 계속 바뀌는 것이다.

대역 조차 바뀌는것이다 ㅠㅠ

 

사실 VM을 생성하고 항상 HyperV로 직접 콘솔로 접근한다면 IP를 고정할필요없다.

하지만 직접 콘솔은 붙여넣기가 힘들고 글자가 깨질 가능성도 있다.

putty 나 Tabby Terminal과 같은 터미널로 접속할려면 IP를 고정하는게 편하다

또 개발시에도 IP를 고정하는게 테스트할때 편하다.

 

Hyper V의 가상스위치에 가면 Default 스위치가 보인다.

이것을 사용하지않고 새로운 스위치를 만들어야한다.

 

새 가상 네트워크 스위치에서 내부를 선택하고 가상스위치를 만든다.
그다음 이름은 마음대로 변경해도된다.

이제 네트워크장비 IP를 고정해야한다.

 

Windows+R 해서 실행창을 킨다음 ncpa.cpl입력한다.

 

그 다음 만든 vEthernet 어댑터를 우클릭- 속성 -인터넷 프로토콜버전 4(TCP/IPv4)를 클릭후 속성

IP와 서브넷을 설정하면되는데

IP 대역은 사설 서브넷 대역을 설정하면된다.

사설 서브넷 대역 과 최고로 설정할수있는 CIDR 크기는 아래와 같다.

IP address range Largest CIDR block
10.0.0.0 – 10.255.255.255 10.0.0.0/8 (255.0.0.0)
172.16.0.0 – 172.31.255.255 172.16.0.0/12(255.240.0.0)
192.168.0.0 – 192.168.255.255 192.168.0.0/16 (255.255.0.0)

헷갈린다면 저 처럼 10.0.0.1 // 255.255.255.0으로 입력하시면된다.

 

Rocky8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입력하여서 접근

(eth0이 없다면 ifconfig를 해서 보이는 리눅스의 어댑터 명을 본다)

BOOTPORTO=static

(기존엔 DHCP로 자동으로 할당받는것이라 IP가 바뀌기 때문에 Static)

IPADDR=10.0.0.2

(Hyper V 어댑터 IP인 1과 미리 지정된 IP인 0과 255를 뺀 2~254 사용가능하다)

NETMASK=255.255.255.0 

(어댑터에서 설정한 서브넷마스크와 동일하게)

GATEWAY=10.0.0.1

(어댑터 IP를 입력)

DNS1=8.8.8.8

(실제로 사용한 DNS IP 입력, 구글 IP를 사용)

재부팅을 하고 ifconfig 명령어로 IP가 내가 원한대로 할당됐는지 확인해보자.

 

Ubuntu 22

vi /etc/netplan/에 있는 ~.yaml를 실행

나의 경우에는 00-installer-config.yaml이다.

그다음 config를 적절히 수정하면되는데

뜯어서보면 위와 비슷하게 IP GW 할당이다.

단 설정을할때 들여쓰기 간격을 신경써야한다.

비슷한 개념이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저장후 netplan apply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 값들이 바로 적용된다.

하지만 중요한건 재부팅시에도 그대로인지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재부팅 후에 한번 ifconfig를 입력해본다.

 

 

이제 고정되었으면 Windows 터미널 창에서 [ssh 접속계정명@IP]로 접속 테스트를 해보자.!

이게 접속이 잘 된다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고 인터넷 접근도 될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