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 8

Hyper V에서 윈도우(Windows) VM 고정 IP 설정하기

Hyper V에서 Default 로 윈도우 VM를 설치할경우에는 VM내의 IP 설정이 DHCP 로 지정이된다. 물론 일반적인 사용에는 문제는 없지만 Host 컴퓨터를 재부팅할때마다 VM 의 IP가 변경이 된다., 웹서버를 사용하거나 RDP를 연결한다면 매번 바뀌기때문에 테스트가 불편하다. 이 부분을 변경할려면 고정 IP를 할당해야한다. Hyper V의 가상스위치에서 "내부"로 가상스위치를 하나 만들어야한다. 저는 만들어서 이름을 Int로 정해놨습니다. 새로 생성한 Int를 수정해야한다. WIndows 11에서는 네트워크 어댑터가 바뀌어서 기본 어댑터는 불편하다.. 옛날꺼 그대로 쓰도록 하자 windows+R을 눌러서 실행하여 ncpa.cpl해서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 으로 접근 새로 만든 Hyper-V V..

SE업무/OS 2023.04.02

도메인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 조회( 리눅스, 윈도우 , nslookup이 없을 때도 )

여러대의 서버를 접근하다보면 nslookup이 없을때도 많다. 그때마다 당황하는데... 사용하는 모든 명령어를 정리할려고한다. 리눅스와 윈도우 모두 정리해보겠다. 정리하면서 새로운 명령어도 알아가니 좋은듯.. 괄호는 테스트한 환경이다. Linux (rocky 8, ubuntu 22) nslookup www.google.com host www.google.com dig +short www.google.com systemd-resolve www.google.com (rocky 8) resolvectl query www.google.com (ubuntu 22) traceroute www.google.com ping -c 1 www.google.com telnet www.google.com rocky에서되는(우..

SE업무/OS 2023.02.19

컴퓨터가 켜지는 과정 (리눅스)

컴퓨터에 전원을 넣고 리눅스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과정을 정리해보겠다. 1.사람이 파워버튼을 누른다. 2. 파워서플라이에서 메인보드로 전원이 공급되며 메인보드가 펌웨어를 초기화 시키고 CPU를 동작시킨다. 3.CPU가 Bootstrap Processor(BSP)로 선택되고 이 BSP는 모든 BIOS와 Kernel의 초기화 코드를 동작시킨다. 4.BIOS CPU가 BIOS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컴퓨터에 입력과 출력에 필요한 기능들이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는지 테스트한 후 초기화하는 POST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면 CPU나 RAM, USB와 같은 주변 장치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5. POST가 끝난 후, 컴퓨터는 이제 어떤 운영체제를 선택할 지 결정한다. BIOS는 보조기억장치(SSD,HDD)의 첫 5..

SE업무/OS 2021.06.20

리눅스 , 윈도우 용량 큰 파일 찾기

디스크가 꽉차서 서버 에러가 날때가 생각보다 있다. 그래서 모든 시스템 디스크 알람은 필수이다. 디스크 용량 초과 알람이 발생해서 서버를 접속하게된다면 내가 구축하고 자주 접속하는 서버라면 당연히 파일이 주로 쌓이는 로그파일이나 큰 파일을 찾아서 삭제하겠지만 처음 접속하는 서버의 경우 로그 경로도 모르고 모든게 생소하다.. 1.리눅스 리눅스의 경우 du 명령어로 주로 탐색한다. 아래는 du 명령어 옵션과 설명이다. [root@infra-01 /]# du --help Usage: du [OPTION]... [FILE]... or: du [OPTION]... --files0-from=F Summarize disk usage of each FILE, recursively for directories. Mand..

SE업무/OS 2021.06.11

Netstat 명령어

Netstat 명령어란 리눅스,윈도우에 쓰이며 현재 서버의 네트워크 통신상태를 확인할때 쓰이는 명령어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사용할때에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리눅스 최소설치를 진행한 경우 없을수도있으니 yum install net-tools 이용하여 설치를 진행하자. 어떤 옵션이 있는지 확인하자. [root@infra-01 ~]# netstat -? usage: netstat [-vWeenNcCF] [] -r netstat {-V|--version|-h|--help} netstat [-vWnNcaeol] [ ...] netstat { [-vWeenNac] -I[] | [-veenNac] -i | [-cnNe] -M | -s [-6tuw] } [delay] -r, --route display routin..

SE업무/OS 2021.06.06

비밀번호 없이 ssh 원격 접속하기

서버간 ssh 원격 접속시 비밀번호 없이 바로 접근하기위해 셋팅을 해보겠습니다 서버간 SSH 접근시 계정에 따른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한다. 하지만 관리상 서버간 통신시 비밀번호는 계속 입력하면 시간낭비도 있고 관리상 힘든점이 많다 (예를들면 앤서블을 쓸때도..) 서버 셋팅은 아래와 같이 1번서버는 192.168.56.11 2번서버는 192.168.56.12로 하였다. (다음시간에 버츄얼박스에서 서버간 통신을 위해 셋팅하는 법을 간단히 포스팅하겠다) 서버간 정한 계정명은 infra이다. 먼저 아무 셋팅없이 1번 서버에서 2번서버로 ssh 접근해보겠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SSH 접근 성공한다. 이제 비밀번호없이 접근가능하도록 셋팅해보겠다. 1번서버에서 키젠을 생성하도록하자 [infra@infra-01 ~]$..

SE업무/OS 2021.06.01

fdisk로 root volume 2TB 이상 확장하기 (AWS EC2)

(먼저 NOCHANGED: partition 1 could only be grown by 이 오류를 보고 왔다면 잘 오셨습니다. 결론만 보고싶으면 4번으로 내려가시면 됩니다.) 이 방법은 매우 특이한 케이스이다. 전형적인 parted를 이용하여 디스크 할당하는건 다음시간에.. 보통 fdisk를 쓴다고하면 mbr 형식으로 2테라미만에만 써야하는걸로 주로 알고있다. AWS는 기본적으로 LVM을 쓰고 그래서 디스크 확장 문서들도 LVM이라는 가정하로 진행한다. 하지만 특이한일이 발생했다.. 나는 특정 이미지를 사용하여 DB서버를 구성하였다 처음에는 용량 문제는 없었지만 추후 성능 및 용량증가를 위해 디스크 확장 요청을 하였는데 이상하게 안되어서 확인해보니 이전에 작업한 사람이 이미지를 만들면서 디스크를 포맷하..

SE업무/OS 2021.05.19

VM LVM 환경 ROOT 디스크 확장시키기

작업하면서 한번쯤은하는 VM의 ROOT 디스크 확장 과정을 정리해봤다. 물론 OS 디스크볼륨은 따로 data볼륨은 따로해서 OS볼륨은 안 건드는 구조가 제일 좋다.! 하지만 이미지를 뜬 서버로 초기세팅시 OS볼륨을 기본크기를 특별히 요청한다면 아래 작업이 필요하다 가끔씩해서 까먹어서 내가 보는 용도로 작성한다. 테스트환경 : 윈도우OS PC의 무료 가상머신인 Virtual BOX에서 실행 중인 CentOS7 1. 먼저 lsblk와 df -h로 현재 디스크 용량 체크 [root@localhost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20G 0 disk ├─sda1 8:1 0 1G 0 part /boot └─sda2 8:2 0 19G 0 ..

SE업무/OS 2021.05.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