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이고 무료로 사용가능한 Hyper V에서 VM을 사용하다보면 기본적으로 부팅할때마다 VM IP 값이 변경되는 점을 확인할 수가 있다. 왜냐하면 Hyper V의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Default Switch라는데 해당 스위치는 부팅할때마다 IP 대역이 변경된다.. Ipconfig를 치면 Default Switch가 보이는데 부팅할때마다 바뀔것이다. VM의 경우 이 어댑터를 쓰는데 이 어댑터의 IP가 바뀌니까 VM의 IP도 계속 바뀌는 것이다. 대역 조차 바뀌는것이다 ㅠㅠ 사실 VM을 생성하고 항상 HyperV로 직접 콘솔로 접근한다면 IP를 고정할필요없다. 하지만 직접 콘솔은 붙여넣기가 힘들고 글자가 깨질 가능성도 있다. putty 나 Tabby Terminal과 같은 터미널로 접속할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