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5

EPL 20/21 시즌 종료

20/21 시즌이 5월 24일 38라운드를 마지막으로 끝났다. 마지막 라운드는 승부조작 방지를 위해 같은시간에 10 경기를 진행한다. 해외축구를 10년 가까이 보고있지만 최고의 재미를 꼽으라면 챔스결승, EPL 마지막 라운드 두개라고 생각한다. 이번 38라운드의 최고 중요경기는 토트넘 vs 레스터시티이다 챔스 진출을 위해 이겨야하는 레스터시티 유로파 컨퍼런스 진출 + 아스날보다 더 높은 위치를 유지하기위한 토트넘 그리고 나머지 경기는 실력차가 있어 결과가 예상되는 경기들이였다 (첼시는 예상외였지만..) 나는 아스날팬이지만 토트넘 레스터시티 경기를 시청했다. 아스날은 이길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결과는 극적인 토트넘의 역전승 해리 케인과 교체 투입된 가레스 베일이 게임을 지배했다. 해리케인은 EPL 최초 ..

일기노스/해축 2021.05.24

갤럭시 버즈 프로 짝퉁 진품 비교

(먼저 해당글은 특정 업체로 부터 광고받은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최근 생일선물로 갤럭시 버즈프로를 받았다.. 선물해준분이 쿠팡에서 해외직구로 구매해서 선물을 주셨는데.. 최근 갤럭시 버즈프로부터 정책이 바뀌어서 직구판도 AS된다고해서 안심했었다 하지만 상품을 받고 사용하는데 무언가 이상했다... 처음부터 Galaxy Wearable로 연결이 안 되서 블루투스로 연결한후 연결이 되었다. 연결 후에도 위와같이 배터리랑 이어버드의 배터리가 안 보였다. 이어버드 연결 인식을 제대로 못 해서 인지 추가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가 없었다. 음질도 별로였다. 이때까진 연결문제나 케이스 문제인줄 알았다. 다음날 집 주변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로 가서 바로 확인을 받았다 보자 마자 가품판정을 내리셨다 즉 짝퉁이라는거다...

fdisk로 root volume 2TB 이상 확장하기 (AWS EC2)

(먼저 NOCHANGED: partition 1 could only be grown by 이 오류를 보고 왔다면 잘 오셨습니다. 결론만 보고싶으면 4번으로 내려가시면 됩니다.) 이 방법은 매우 특이한 케이스이다. 전형적인 parted를 이용하여 디스크 할당하는건 다음시간에.. 보통 fdisk를 쓴다고하면 mbr 형식으로 2테라미만에만 써야하는걸로 주로 알고있다. AWS는 기본적으로 LVM을 쓰고 그래서 디스크 확장 문서들도 LVM이라는 가정하로 진행한다. 하지만 특이한일이 발생했다.. 나는 특정 이미지를 사용하여 DB서버를 구성하였다 처음에는 용량 문제는 없었지만 추후 성능 및 용량증가를 위해 디스크 확장 요청을 하였는데 이상하게 안되어서 확인해보니 이전에 작업한 사람이 이미지를 만들면서 디스크를 포맷하..

SE업무/OS 2021.05.19

블로그를 시작하게된 이유 + 자기소개

대학입학부터 지금 회사 3년차까지 너무 나를 안챙기고 공부와 일만 한 듯하다. 30살이 되기전에 뭔가라도 하나 해야할 것 같아 뭘할까하다가 어릴때 재밌게한 블로그가 떠올라서 다시 시작하게되었다. https://blog.naver.com/ting102803 에륜의 잡동사니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안쓰는 블로그 blog.naver.com 중고등학생때까지 잘했었는데 생활패턴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그만두었다.. 일하면서도 정리할게 필요했는데 마음만 "정리해야지" 먹고 실천을 못 해서 블로그에 하나씩 쌓으면 좋을듯하여 직무적 능력 향상 + 취미 생활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이번기회에 시작했다. 소개를 간단히 하자면 지거국 컴공과 출신으로 인프라를 좋아하여 현재 판교에서 System Engineer로 일하고있다...

VM LVM 환경 ROOT 디스크 확장시키기

작업하면서 한번쯤은하는 VM의 ROOT 디스크 확장 과정을 정리해봤다. 물론 OS 디스크볼륨은 따로 data볼륨은 따로해서 OS볼륨은 안 건드는 구조가 제일 좋다.! 하지만 이미지를 뜬 서버로 초기세팅시 OS볼륨을 기본크기를 특별히 요청한다면 아래 작업이 필요하다 가끔씩해서 까먹어서 내가 보는 용도로 작성한다. 테스트환경 : 윈도우OS PC의 무료 가상머신인 Virtual BOX에서 실행 중인 CentOS7 1. 먼저 lsblk와 df -h로 현재 디스크 용량 체크 [root@localhost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20G 0 disk ├─sda1 8:1 0 1G 0 part /boot └─sda2 8:2 0 19G 0 ..

SE업무/OS 2021.05.13
반응형